을 다시 세분화해 통보했다.
페이지 정보

본문
지난 25~26일 일선 시·군에 감축안을 다시 세분화해 통보했다.
시·군은 내년 2월까지 관내 농가에 재배면적감축통지서를 발송할 계획이다.
재배면적감축을 이행한 농가는 공공비축미 배정에서 우대를 받는다.
또 초과감축한 농가는 기본직불금을 추가 지급받고.
소득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년에 처음으로 '벼 재배면적조정제'를 도입한다.
벼 재배면적8만㏊감축을 목표로감축면적을 시도별로 배정하는 조정제를 시행해 농가의감축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.
정부는감축을 이행한 농가에는 공공비축미 물량을 우선 배정하고.
전체 농가를 대상으로 재배면적조정제를 시행할 예정으로 미이행 농가는 공공비축미 배정 제외 등 강력한 페널티를 받게 된다.
농림축산식품부는 31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'2025년.
면적의 약 12%를감축해야 한다.
감축이행 여부에 따라 공공비축용 벼 배정에 혜택을 받거나 제외될 수 있다.
이달 하순 농가별감축면적통지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제도의 운영 방식과 절차를 알아본다.
◆ 필지별로 12%가량감축=농림축산식품부는.
전체를 대상으로 재배면적조정제가 시행되며 농가별면적감축(전략작물 및 경관작물, 휴경, 타작물 전환)이 기본 원칙이나감축취지 및 이행 편의성을 고려해 다양한 이행 방식을 발굴해감축이행으로 인정할 예정이다.
농가는 재배면적조정을 이행한 후 이행.
충남 1만5763㏊(70만6000t), 전북 1만2163㏊(54만5000t) 등 순이다.
쌀 생산량이 19t에 그친 제주는 가장 적은 0.
재배면적감축을 이행한 농가는 공공비축미 배정에서 우대를 받는다.
또 초과감축한 농가는 기본직불금을 추가 지급받고, 농기계.
▲ 벼 재배면적조정제 시행 = 쌀 공급 과잉을 해소하고자 내년 벼 재배면적8만㏊(헥타르·1 ㏊는 1만㎡)를감축한다.
재배면적감축을 이행한 농가에는 공공비축미 물량을 우선 배정하고 미이행 농가는 공공비축미 배정에서 제외한다.
6000t)로, 전국의 4% 수준이다.
재배면적3256㏊를 줄이면, 1만5000여t(조곡 기준·전년 대비 12%)이 줄어들게 된다.
http://xn----wr6e25wba434jlije9af8fhqk5qvxra.kr/
시·도별감축면적은 전남이 1만5831㏊로 가장 많다.
정부는 재배면적감축을 이행하지 못한 농가에 대해 정부 쌀 수매를 제한하는 등의 ‘페널티.
이미지투데이 정부가 내년부터 시행하는 ‘벼 재배면적조정제’의 추진계획을 내놨다.
감축면적목표를 올해 재배면적(69만7713㏊)의 11.
5%에 달하는 8만㏊로 설정하고, 참여한 농가에 공공비축용 벼 배정 등 인센티브(우대 조치)를 준다.
농식품부는 2025년부터 ‘벼 재배면적조정제’를 시행한다.
쌀 공급과잉으로 쌀값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서다.
감축면적8만ha를 시·도별로 배정하고 농가는 다른 작물 전환, 친환경 전환 등 다양한 방식으로면적감축을 이행하게 된다.
- 이전글따뜻한 연말 기부 행사를 진행 25.01.03
- 다음글정질 형태의나이오븀인산(NbP 25.01.03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